[독서] 대포, 범선, 제국
초판 1쇄 발행. 2010년 9월 27일, 저자 카를로 M. 치폴라, 역자 최파일, 미지북스
1400~1700년, 유럽은 어떻게 세계의 바다를 지배하게 되었는가?
종과 같은 고상한 물건을 만들면서 발전한 기술이 결과적으로 살상 무기의 진보를 낳았다는 사실은 역사의 무수한 아이러니 중 하나다.
대서양 지역 민족들은 대포를 실은 범선으로 완전히 선회하면서 인력 확보에서 필연적으로 따르는 병목 현상을 피하고 훨씬 더 큰 양의 자연적 에너지를 자신들의 뜻대로 동력화할 수 있었다. 유럽의 범선들이 가장 먼 바다까지 위협적으로 모습을 드러낸 것은 바로 그때였다.
부처는 중국에 흰 코끼리를 타고 온 반면 그리스도는 포탄에 실려왔다.
종교는 명분을 제공하고 금은 동기를 제공한다. 14 ~ 15세기에 대서양 연안 유럽 국가들이 성취한 기술적 진보는 수단을 제공했다.
기술적으로 더 발전한 민족은(기술보다 정의하고 평가하기가 더 어려운) “문명화” 정도와 상관없이 우위를 점하게 되어 있다.
Wording
- 대포는 초기 투석 용도로 성벽과 성안을 파괴하기 위한 용도로 개발되었으며, 당연히 기동성에 문제가 많았음
- 14세기에는 주로 청동으로 만든 대포가 15세기 부터는 철로 만든 대포가 많이 사용되었으며, 그 이유는 철 대포가 제작단가가 더 싸고, 사람을 구하기 쉬웠기 때문임
- 땅에서의 전투는 지키는 전투가 아니라면 기동성에 의해 판결이 많이 나므로 대포가 그닥 효용성이 없었음.
- 유럽국가는 이슬람국가에 비해 육지에서의 싸움은 18세기까지 이렇다할 승전이 없었음.
- 유럽은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했으며, 그 결과 대포를 배에 실어 그 효과를 극대화 함
- 철로 만든 대포의 가장 중요한 자원은 구리였음. 구리와 철의 좋고 나쁨에 따라 대포의 수명도 결정이됨
- 초기에는 투석용도였지만 그 이후 포탄이란 개념이 나오고 이후 계속 발전이 됨.
- 아시아 국가도 15세기까지의 대포로만 보면 유럽에 비해 꿀리지 않았음. 다만 그 활용을 최적화하지 못했을뿐.
- 아시아 국가에서 대포를 가장 잘 활용한 국가는 조선이며, 그중 이순신 장군이 유럽국가에서와 같이 방법과 방향으로 대포를 운용했음. (역시 이순신)
- 이슬람과 아시아국가의 해전의 개념은 대포를 쏘는 개념이 아니라 배를 부딛혀서 배위에 올라서서 싸우는 육탄전이었음. 이를 바꾼것이 유럽임.
- 15세기 이후 대양에서의 주도권이 유럽으로 넘어감에 따라 새로운 대륙도 발견하게 되고, 식민지 건설을 하여 많은 부를 축적하고 이를 통해 기술발전을 할 수 있는 선순환의 계기를 만든건 결국 대포의 개발과 활용이었음 (너무 나갔나 ㅎ)
- 2차세계대전에서의 전투 또한 육상에서의 전차전(결국 대포)이었으며, 기동성을 강화하여 기습작전을 통한 적의 섬멸, 전차전 개념으로 독일이 유럽을 지배할뻔 하였음.